환경인사이드

포스트 플라스틱 시대, 우리에게는 바이오플라스틱이 있다

환경분야
자원순환
게시일
2025.06.27
조회수
364
내용




■ 포스트 플라스틱 시대, 우리에게는 바이오 플라스틱이 있다

ㅇ 폐플라스틱 발생량의 대폭 증가

- 국내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2014년 대비 2019년도에 약 82% 대폭 증가했습니다.

- 늘어나는 플라스틱 폐기물과 환경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바이오 플라스틱이 등장했어요.

(출처ㅣ국내·외 바이오플라스틱 관리 및 활용 현황 자료집(국립환경과학원, 2024.12))


ㅇ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무엇인가요?

-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생물공학 기반기술을 통해 생산된 생분해성 또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을 의미해요.

- 생분해성 플라스틱 식물유래 바이오매스를 70%이상 함유한 플라스틱

- 바이오매스플라스틱 식물로부터 유래하는 바이오매스를 25%이상 함유하는 플라스틱으로 탄소 중립형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적용하여 이산화탄소 저감이 강조된 플라스틱


ㅇ 국내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어떤가요?

- 국내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(2020년 기준)은 1억 5~60만 달러를 기록했고, 2020~2025년 내에 연평균 13.5%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해요.

- 하지만 2022년 기준,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바이오 플라스틱은 약 3만 톤.

- 국내 플라스틱 사용량(460만 톤)과 비교하면 0.6%에 불과하죠.

- 전 세계 바이오 플라스틱 수요와 비교해도 약 2% 수준입니다.

- 앞으로 더 널리 쓰일 수 있도록, 다양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해요.

(출처ㅣ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)


ㅇ 국내 바이오 플라스틱 인증제도 및 현황은 어떤가요?

- 국내에서는 환경표지인증을 통해 생분해성 수지제품과 바이오매스 유래 합성수지를 인증하고 있어요.

- 생분해성 수지제품(EL724) 인증제품 총1,604건

- 바이오매스 유래 합성수지(EL727) 인증제품 총668건


ㅇ 해외 주요국의 바이오 플라스틱 현황을 알아볼까요?

- <일본> 2030년까지 2백만 톤의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도입을 목표로 해요.

- 폐원료 지속가능성, 생분해 특성, 폐기 방식 등을 반영한 다양한 가이드라인과 인증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요.

- <독일>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만든 폐기물의 퇴비화 가능성 시험 기준을 마련했으며, 이는 미국·유럽 기준보다 더 엄격해요.

- 독일 시장 내 바이오플라스틱 포장에는 DIN CERTCO 테스트 완료 퇴비화 가능 표기 표시

(출처ㅣ국내·외 바이오플라스틱 관리 및 활용 현황 자료집(국립환경과학원, 2024.12))


ㅇ 포스트 플라스틱 시대에 꼭 필요한 바이오 플라스틱!

- 친환경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작은 변화, 바이오 플라스틱이 시작이 될 수 있어요.

- 하지만, 바이오 플라스틱도 처리 시에 폐기물이 발생하여 환경 안정성 및 유해성 평가와 적정 처리시설 마련이 필요해요.

- 최종 산물까지 친환경으로 처리하기 위해 활발한 연구가 필요해요.



출처ㅣ국내·외 바이오플라스틱 관리 및 활용 현황 자료집(국립환경과학원, 2024.12, https://k-knowledge.kr/srch/read.jsp?id=270513785)


출처ㅣ바이오플라스틱 산업 동향 (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4.10, https://koreascience.kr/article/JAKO202474457627039.pdf)


태그
#카드뉴스 #자원순환 #바이오플라스틱 #생분해플라스틱 #플라스틱
첨부파일
  • (25ME-004) 포스트 플라스틱 시대, 우리에게는 바이오 플라스틱이 있다.pdf(다운로드 : 4 회)

상세 검색

상세검색폼
~
환경분야
대륙/국가